맨위로가기

학봉 현무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봉 현무암은 대구 분지 중심부에 분포하는 현무암으로, 3매의 현무암과 사암, 이암, 역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현무암 단위는 괴상 구조를 가지며, 부분적으로 주상 또는 판상 절리가 발달한다. 학봉 현무암은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흐트절에 생성되었으며,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금호강 강변 화담길 등에서 노두를 관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현무암 - 아즈텍 태양석
    아즈텍 태양석은 1502년에서 1520년 사이에 멕시카족이 조각한 석판으로, 멕시카 우주론과 아즈텍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으며 멕시코 문화의 상징으로 멕시코 국립 인류학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대구광역시의 지리 - 자인층
    자인층은 대구광역시 수성구와 경산시 일대에 분포하며 암회색 내지 흑색 셰일로 이루어져 있고 반야월층과 점이적인 관계를 가지며 400m 이상의 두께를 가진 지층이다.
  • 대구광역시의 지리 - 대구층
    대구층은 경상 누층군에 속하는 백악기 지층으로, 이암 및 셰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경상 분지 내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특히 울주군에서는 다양한 지질 및 고고학적 유적을 포함한다.
학봉 현무암
개요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화담길 도로변에 약 1 km 에 걸쳐 나타나는 학봉 분암층의 노두이다.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화담길 도로변에 약 1 km 에 걸쳐 나타나는 학봉 분암층의 노두
이름학봉 현무암
로마자 표기Hakbong hyeonmuam
한자 표기鶴峯玄武岩
일본어 표기(가쿠보훈간소)
명명타테이와 이와오
이름 유래학봉
지질학적 정보
시대중생대
시기백악기
유형퇴적암
주 암질현무암
기타 암질사암, 이암, 역암
상위 단위경상 누층군
하층신라 역암층
상층대구층 (함안층)
두께100 m
지역
지역대구광역시

2. 분포 및 두께

학봉 현무암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 신라 역암층대구층 사이에 분포한다.[1] 대구광역시 침산동 부근에서 금호강을 가로지르는 학봉 반암층의 두께는 장기홍(1977)에 의해 약 400m로 측정되었다. 그러나 이후 금호강 아래 숨겨져 있던 단산지 단층의 존재가 밝혀졌고, 이 단층으로 인해 학봉 반암층의 두께가 반복되어 실제보다 2배 두껍게 측정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실제 두께는 200m로 정정되었다.[2] 이후 전용무와 손영관(2008)은 학봉 현무암의 두께를 100m 내외로 측정하였다.[1]

3. 암상

학봉 현무암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 신라 역암층대구층 사이에 놓여 있다. 세부적으로는 3매의 현무암과 그 사이에 협재된 사암, 이암, 역암으로 구성된다.[1][5] 각 현무암 단위는 공통적으로 괴상(塊狀)의 내부 구조를 가지며, 부분적으로 주상 혹은 판상 절리가 발달한다. 현무암 단위의 기저부에는 다공질의 현무암편이 수십 cm에서 1m 두께로 나타난다.[1] 협재된 사암에서는 현무암편 사이의 공극을 아래에서 위로 채운 형태의 불꽃구조와 층리가 아래로 휘어진 하중구조가 흔히 관찰된다.[1]

학봉 현무암(과거 학봉 분암층)은 경상 분지의 확장을 야기한 단층 운동에 수반하여 분출한 화산암체일 가능성이 높으며,[1] 백악기에 활동한 주요 구조선(단층)을 따라 안산암질 마그마가 상승하여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4]

과거 대구 지질도폭(1928)에서는 응회암, 사암 및 그 사이에 협재된 분암(玢巖; porphyrite)으로 구성되어 '학봉 분암층'으로 명명되었으며, 당시 측정된 두께는 대구 분지 중심부에서 250m이고 남서쪽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장기홍(1977)은 대구광역시 침산동 부근 금호강을 가로지르는 학봉 반암층의 두께를 약 400m로 측정하였으나, 이후 금호강 아래 단산지 단층의 발견으로 실제 두께는 200m로 정정되었다.[2] 최근 전용무와 손영관(2008)은 학봉 현무암의 두께를 100m 내외로 측정하였다.[1]

이 암석은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화담길 도로변에 가장 잘 드러나 있으며, 강변 노두에서는 신선한 부분을 관찰할 수 있다.[4] 이곳의 학봉 현무암 노두에서는 현무암질 용암류에서 나타나는 다공질 조직, 반상 조직, 퇴적암과의 경계부 등을 관찰할 수 있다.[5]

3. 1. 화학 조성

학봉 분암층에서 채취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 현무암의 SiO2 함량은 46.5~50.3%, 평균 48.4%이며 K2O는 0.13~2.36%, Na2O는 2.93~6.12%로 나타났다.[1]

4. 생성 과정

학봉 현무암은 중생대 백악기에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의 신라 역암층대구층 사이에 형성되었다. 이 시기 경상 분지가 확장되면서 발생한 단층 운동과 관련하여 화산 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학봉 현무암은 이러한 단층 운동에 수반하여 분출한 화산암체일 가능성이 높으며,[1] 주요 구조선(단층)을 따라 마그마가 상승하여 분출하면서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5. 절대 연령

학봉현무암의 K-Ar 동위원소 연대는 백악기 후기 마스트리흐트절에 해당하는 68.1 Ma[6], 79.2 Ma[7], 70.5 Ma[8]이다. 이는 위아래에 놓인 대구층신라 역암층의 연대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강희철과 김인수(2000)는 이러한 연대 차이가 현무암 자체의 변질 또는 주변 암석을 뚫고 들어온 관입의 결과일 수 있다고 추정하였다.[9]

6. 현장 관찰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의 금호강 강변 화담길을 따라 학봉 현무암의 노두를 관찰할 수 있다. 이 암석은 북구 동변동 화담길 도로변에 가장 잘 드러나 있으며, 동변아파트를 지나면서부터 계속 분포하지만 도로변 노두는 풍화로 인해 관찰하기에는 부적합한 부분도 있다. 강변의 노두는 비교적 신선한 부분을 포함하며 수평에 가까운 쪼개짐(절리)을 보인다.[4] 또한 대구팔공초등학교 서쪽 도로변(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1345)에도 대규모 노두가 드러나 있다.

이곳의 학봉 현무암은 조면현무암의 조성을 가지고 있으며, 총 3매의 현무암 단위와 그 사이에 협재된 사암, 이암, 역암 등의 퇴적암으로 구성된다.[5] 현무암질 용암류에서 나타나는 다공질조직, 반상조직, 퇴적암과의 경계부 등이 관찰된다.[5] 각 현무암 단위의 기저부에는 다공질의 현무암편이 수십 cm ~ 1m 두께로 나타난다. 협재된 사암에서는 현무암편 사이의 공극을 아래에서 위로 채운 형태의 불꽃구조와 층리가 아래로 휘어진 하중구조가 흔히 보인다.[1]

대구팔공초등학교 서쪽 도로변에 대규모로 드러난 학봉 분암층 노두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1345


화담길 도로변에 드러난 노두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학봉 현무암 노두


학봉 현무암 노두


학봉 현무암 노두


학봉 현무암 노두


학봉 현무암 노두


학봉 현무암 노두

7. 사진



참조

[1] 논문 Characteristics, emplacement processes, and stratigraphic implications of the basalts intercalated in the Hayang Group, Cretaceous Gyeongsang Basin, SE Korea (경상분지 하양층군에 협재된 현무암류의 암상과 정치과정 그리고 층서적 의미) https://www.dbpia.co[...] 2008-12
[2] 논문 경상분지 중앙부의 구조발달사와 화산활동사 (Aspects of Tectonics and Volcanism Recorded in Cretaceous Medial Kyongsang Basin, SE Korea) http://koreascience.[...] 1997
[3] 웹인용 朝鮮地質圖 第4輯 - 慶州, 永川, 大邱 及 倭館圖幅 https://data.kigam.r[...] 조선총독부지질조사소 1928
[4] 웹인용 학봉 백악기 현무암질 안산암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5] 서적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7-11
[6] 논문 Paleomagnetism and Age Determination of Cretaceous Rocks from Gyeongsang Basin, Korean Peninsula https://agupubs.onli[...] 1983-01
[7] 논문 한국남부(韓國南部)의 백악기말(白堊紀末) 이후(以後)의 화성활동(火成活動)과 광화작용(鑛化作用)에 대(對)한 판구조론(板構造論)의 적용성(適用性) 연구(硏究) (I) Applicability of plate tectonics to the post-late Cretaceous igneous activit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I) https://scienceon.ki[...] 1982
[8] 논문 Eastern Asia in the Cretaceous: New paleomagnetic data from South Korea and a new look at Chinese and Japanese data https://agupubs.onli[...] 1987
[9] 논문 Palaeomagnetic study on the Early Cretaceous Hayang Group in Yongyang area, Northeastern Kyongsang Basin 영양지역에 분포하는 전기 백악기 하양층군에 대한 고자기 연구 https://www.dbpia.co[...] 200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